root 계정 접속 방법
su root 입력 후 비밀번호 입력
비밀번호 모를시 root password 설정
sudo passwd root 입력 후 비밀번호 설정
위 그림과 같은 권한이 있을시
-rw-r--r-- 1 root root
해당 권한을 살펴보면
첫번째 - 의 의미는 파일(-) 폴더(d)를 뜻함
두번째 rw-의 의미는 root의 권한을 의미하며 읽기(r), 쓰기(w), 실행(x)로 구성됨
세번째 r--의 의미는 root 그룹의 권한을 의미하며 root권한에 속한 사용자가 사용할수 있는 권한을 뜻함
네번째 r--의 의미는 누구나(any)의 권한을 의미
root 의 경우 소유자를 의미
root 의 경우 그룹을 의미
*숫자로 표시
r : 4 r : 4 r : 4
w : 2 - : 0 - : 0
- : 0 - : 0 - : 0
6 4 4
해당 파일의 경우 644권한임을 알 수 있다. (x의 경우엔 1임)
해당 파일의 권한을 누구나 w할수 있게 권한을 주려면
chmod 646 test1.txt 명령어를 입력하면된다. (최고 관리자 권한이 아니라면 맨앞에 sudo 붙일것)
**추가로 sudo chmod u+x,g+wx,o+x test1.txt 이런식으로도 가능하다. [ comma(,)후 띄어쓰기 절대금지 ]
u+x : 유저권한에 x를 추가
g+wx : 그룹권한에 wx를 추가
o+x : 누구나 권한에 x를 추가
만일 o=rw를 하면 덮어 씌워짐
위와 같은 권한의 파일이 있고 현재 로그인된 계정이 ubuntu일때 test2.txt 파일의 그룹은 root이기 때문에 파일 수정이 불가능하다.
이때 해당 파일의 그룹을 root->ubuntu로 변경시 ubuntu계정으로 변경이 가능한데
sudo chown root:ubuntu test2.txt 명령어를 입력하면
위 사진과 같이 그룹이 변경된걸 확인할 수 있다.
참고로 root:ubuntu 이건 root를 ubuntu로 바꾸는게 아닌 순서를 의미한다.
리눅스 명령어 모음 [로그보기] (0) | 2022.09.30 |
---|---|
리눅스 명령어 모음 [파일 찾기] (0) | 2022.09.30 |
리눅스 명령어 모음 [vim] (0) | 2022.09.29 |
리눅스 명령어 모음 [프로세스, 서비스] (0) | 2022.09.28 |
DB 연결확인 (0) | 2022.06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