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디스의 블로그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리디스의 블로그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70)
    • 개발 (62)
      • AWS (16)
      • Java (10)
      • Spring (7)
      • SQL (2)
      • Java-Script (2)
      • Mac (1)
      • React (2)
      • Infra (2)
      • Linux (9)
    • Software (1)
    • 자동차 (1)
      • 내차 (1)
    • 금융 (3)
      • 주식 (2)
      • 부동산 (1)
    • 법률 (1)
    • 나 (0)
      • 이력 (0)
      • 그냥저냥 (0)

검색 레이어

리디스의 블로그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금융/주식

  • 물가와 성장관계

    2022.01.19 by Ridiss

  • 차변(Debit), 대변(Credit) 이해하기

    2020.08.21 by Ridiss

물가와 성장관계

고성장 저성장 고물가 - 주식 상승 (가치주) - 채권 하락 - 원자재 상승 - 주식 하락 - 채권 하락 - 원자재 상승 저물가 - 주식 상승 - 채권 상승 - 원자재 하락 - 주식 하락 - 채권 하락 - 원자재 하락 *저성장/저물가 : 2020년 3월 코로나로 인한 급락기 *저성장 저물가일시 FED에서 양적완화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하여 주식상승과 원자재 상승을 유도해서 고성장/고물가로 올라가게 유도함.

금융/주식 2022. 1. 19. 15:43

차변(Debit), 대변(Credit) 이해하기

차변과 대변의 구분은 나를 기준으로 상태가 아니라 나를 기준으로 관점을 구분하여 볼 경우 구분하기가 쉽습니다. (차변) / (대변) 채무자 / 채권자 라고 하였을때 나에게 돈 100만원을 빌린 '김길동'이라는 사람이 있을경우 내 관점에서 채무자는 내가 돈을 받아야 할 대상이됨으로 (차변) / (대변) 100만원(채무자:김길동) / - 이와 반대로 내가 '이춘향'이라는 사람에게 100만원을 빌렸을경우 내 관점에서 나는 채무자고 '이춘향'이라는 사람은 채권자이기 때문에 (차변) / (대변) - / 100만원(채권자:이춘향) 이 됩니다.

금융/주식 2020. 8. 21. 17:01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리디스의 블로그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