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원하는 폴더에서 스크립트를 실행시킬 파일을 생성
vi spring-stop.sh << sh는 별의미 없음 그냥 스크립트 파일이라고 알려주는 역할
2. 이후 파일에 들어가서 INSERT모드로 변경후 아래 내용 입력
echo "springboot stop.."
SPRING_PID=$(pgrep -f v1-0.0.1-SNAPSHOT.jar)
echo $SPRING_PID
kill -9 $SPRING_PID
3. 만든 spring-stop.sh 파일에 실행권한 추가 (블로그에 있음)
4. ./spring-stop.sh 명령어 입력 하면 아래와 같이 종료 되며 netstat -nlpt로 확인시 없는것을 볼 수 있다.
**echo명령어
$변수 -> 변수의 값을 출력 혹은 실행 ->> echo $SPRING_PID
$(명령어) -> 명령어의 결과를 리턴
->> SPRING_PID=$(pgrep -f v1-0.0.1-SNAPSHOT.jar) 의 경우 pgrep -f v1-0.0.1-SNAPSHOT.jar 명령어의 결과를 SPRING_PID로 할당한 것임
그래서 위에 2번에 해당되는 스크립트를 설명하면
echo "springboot stop.." // spring stop.. 을 화면에 출력
SPRING_PID=$(pgrep -f v1-0.0.1-SNAPSHOT.jar) // pgrep -f v1-0.0.1-SNAPSHOT.jar의 결과를 SPRING_PID라는 변수에 할당
echo $SPRING_PID // SPRING_PID라는 변수를 실행 (결국 pgrep -f v1-0.0.1-SNAPSHOT.jar 이게 실행되는거라고 보면됨)
kill -9 $SPRING_PID // SPRING_PID를 kill처리
프로세스 아이디 찾기 (0) | 2022.10.19 |
---|---|
시간설정 (0) | 2022.10.19 |
리눅스 명령어 모음 [로그보기] (0) | 2022.09.30 |
리눅스 명령어 모음 [파일 찾기] (0) | 2022.09.30 |
리눅스 명령어 모음 [권한] (0) | 2022.09.29 |